전체 글(191)
-
Pfizer (PFE) - 4/1/25
Pfizer(PFE) 배당주로 괜찮을까? 매수 타이밍은 언제 일까?주요 산업 및 회사 개요Pfizer는 글로벌 제약회사로, 백신과 치료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의약품을 개발·판매하고 있어요. 대표 제품은 COVID-19 백신 ‘코미나티(Comirnaty)’로 알려져 있죠. 안정적인 수익원과 R&D 기반이 탄탄해 장기 투자에 적합한 배당주로 분류돼요.배당 매력도배당수익률(Yield): 6.82% (산업 평균 1.78%보다 매우 높음)분기 배당 지급 중 (Annualized: $1.72)Payout Ratio: 118.44% → 이익 대비 배당이 높아 지속성에는 주의가 필요요약: 단기적으론 고배당 매력이 크지만, 이익이 줄어든 상태에선 장기적으로 유지 가능성 체크가 필요해요.현재 주가 흐름 분석현재가: $25...
2025.04.01 -
40대 후반, 이민 가도 괜찮을까? (부정론)
한국이 답이 아니어도, 미국이 정답일까?요즘 한국에서 서민으로 살아간다는 건 참 버겁습니다.물가는 끝없이 오르고, 집은 사기 힘들고, 교육비는 부담되고… 아이들의 미래를 생각해도 막막함이 먼저 옵니다.그래서 문득 이런 생각이 듭니다.“미국으로 이민 가면 조금은 나아질까?”하지만 주변에 이걸 실제로 해본 사람이 없습니다. 직업군이 안좋은 건지 제가 너무 고립되어있는건지는 모르겠으나... 괜히 헛된 희망을 품는 건 아닐까?솔직히 저만 이상한 생각을 하는 건가 싶기도 해요.미국 이민, 지금 시점에서 가능한 이야기일까?저는 40대 후반의 IT 엔지니어입니다.아내와 아이 둘, 총 4명 자산은 중산층 수준이라 말할 수 있지만,미국에서는 시작부터 집세·차량·보험에 털릴 수도 있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IT 경력으로 ..
2025.03.29 -
서민으로 살아가기, 한국보다 미국이 나을까? (긍정론)
40대 후반, 이민 가도 괜찮을까?요즘 한국에서 서민으로 산다는 게 정말 버겁습니다. 물가는 오르고, 집값은 여전히 높고, 아이 교육비에 아이 미래가 걱정됩니다.그래서 요즘 들어 "미국으로 이민 가면 좀 나아질까?" 고민하는 분들 많아요. 뭐 사실 제 고민이죠... 주변에 이런분을 보지는 못한 것 같습니다. 제가 유별난걸까요?지금, 미국 이민을 고민하는 이유저는 40대 후반 IT 엔지니어입니다. 아내와 아이 둘, 총 4명 가족.현재 가진 자산은 간신히 중산층 정도, 미국에선 적지 않은 돈이 필요하다 보니 결코 여유롭지도 않죠.이민 → IT 경력으로 미국 대기업 취업 루트를 생각하고 있어요.그런데 이런 질문이 들죠.“지금 나이에 미국 이민, 늦은 거 아닐까?”미국 이민, 지금 해도 괜찮을까?솔직히 말하면,..
2025.03.29 -
여론의 정의와 왜곡
요즘 너무 많은 뉴스와 많은 이야기를 듣게 되는 것 같은데 나이들어서 가장 신경쓰이는 단어 중 하나다. 여론에 의해 법치가 바뀔수 있는가를 솔직히 회의적으로 봤으나 지금 흘러가는 모든 상황을 보면 법도 대중의 합의에 의해 생성되는 것이니 여론을 통해서 법을 바꿀수 있다? 라는 생각을 가지고 실제로 그렇게 흘러가는 경우도 보이는 것 같다. 이런 사회가 지속되면 과연 법을 어디 까지 믿을 수 있을찌 살짝 혼란이 오고 있다... 그래서 여론부터 좀 알아보겠다. 여론이란 무엇일까?여론은 사람들이 사회적 이슈나 사건에 대해 갖는 집단적인 의견이에요. 보통 언론, SNS, 커뮤니티 등을 통해 형성되죠. 사회를 움직이는 큰 힘이 되기도 하지만, 때로는 사실과 다른 방향으로 흐르며 왜곡되기도 해요.잘 형성된 여론 사례..
2025.03.29 -
법의 헛점, '기회'로 보는 사람이 왜 생길까?
요즘 뉴스를 보면, 생각보다 법의 허점이 많다는 걸 느끼게 됩니다. 누군가는 그 틈을 파고들고, 또 누군가는 뒤늦게 문제를 지적하죠.이제 사람들은 단순히 법을 따르기보다, 그 빈틈을 찾아내는 데 집중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누군가에겐 그것이 돈이 되고, 전략이 되며, 생존 수단이 되니까요. 이런 일이 계속 생기는 것 같습니다.간단한 사례최근 한 유튜버가 ‘정보공개청구’를 반복적으로 이용해 공공기관의 민감한 내부자료를 수집한 일이 있었습니다. 법적으로 금지된 행위는 아니지만, 결과적으로 업무 마비와 정보 유출로 이어졌습니다.어떤 문제가 생길까?제도의 신뢰도 하락정상적인 이용자들까지 불편법이 뒤쫓는 구조로 전락법원은 어떻게 대응할까?법은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법원이 해석을 통해 빈틈을 메우는 역할을 하기..
2025.03.26 -
흔들리는 이념의 시대: 극우·극좌, 그리고 변화하는 세계
요즘 세계 곳곳에서 극우와 극좌 정치 세력이 동시에 부상하고 있습니다. 이전에는 특정 국가나 시대에 국한됐던 극단적인 정치 움직임이, 이제는 전 세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고 있습니다. 솔직히 너무 많은 이슈와 너무 많은 이야기로 인해 좀 힘들긴합니다. 현실을 살아야되는 소시민 입장에서는 좀 답답하기도 하고 주식투자자로서 힘들기도 하네요... 사실 큰 생각이 없었는데 공존할 수 있는 이념이 있고 힘든 이념이 저한테도 있긴했네요....극우가 부상하는 곳들독일,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처음으로 극우 정당 AfD가 강력한 의석을 차지프랑스, 마린 르펜의 지지율 상승미국, 트럼프 전 대통령과 마가(MAGA) 세력이탈리아, 조르자 멜로니의 극우 정부이들 국가에서는 이민, 경제 불안, 기존 정치에 대한 불신이 극우..
2025.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