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또는 이민(30)
-
40대 후반, 이민 가도 괜찮을까? (부정론)
한국이 답이 아니어도, 미국이 정답일까?요즘 한국에서 서민으로 살아간다는 건 참 버겁습니다.물가는 끝없이 오르고, 집은 사기 힘들고, 교육비는 부담되고… 아이들의 미래를 생각해도 막막함이 먼저 옵니다.그래서 문득 이런 생각이 듭니다.“미국으로 이민 가면 조금은 나아질까?”하지만 주변에 이걸 실제로 해본 사람이 없습니다. 직업군이 안좋은 건지 제가 너무 고립되어있는건지는 모르겠으나... 괜히 헛된 희망을 품는 건 아닐까?솔직히 저만 이상한 생각을 하는 건가 싶기도 해요.미국 이민, 지금 시점에서 가능한 이야기일까?저는 40대 후반의 IT 엔지니어입니다.아내와 아이 둘, 총 4명 자산은 중산층 수준이라 말할 수 있지만,미국에서는 시작부터 집세·차량·보험에 털릴 수도 있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IT 경력으로 ..
2025.03.29 -
서민으로 살아가기, 한국보다 미국이 나을까? (긍정론)
40대 후반, 이민 가도 괜찮을까?요즘 한국에서 서민으로 산다는 게 정말 버겁습니다. 물가는 오르고, 집값은 여전히 높고, 아이 교육비에 아이 미래가 걱정됩니다.그래서 요즘 들어 "미국으로 이민 가면 좀 나아질까?" 고민하는 분들 많아요. 뭐 사실 제 고민이죠... 주변에 이런분을 보지는 못한 것 같습니다. 제가 유별난걸까요?지금, 미국 이민을 고민하는 이유저는 40대 후반 IT 엔지니어입니다. 아내와 아이 둘, 총 4명 가족.현재 가진 자산은 간신히 중산층 정도, 미국에선 적지 않은 돈이 필요하다 보니 결코 여유롭지도 않죠.이민 → IT 경력으로 미국 대기업 취업 루트를 생각하고 있어요.그런데 이런 질문이 들죠.“지금 나이에 미국 이민, 늦은 거 아닐까?”미국 이민, 지금 해도 괜찮을까?솔직히 말하면,..
2025.03.29 -
호주 이민 성공 & 실패 사례 정리
호주 이민, 누구에게는 기회의 땅이지만, 누구에게나 고생길이라 생각되. 실제 사례를 통해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할지 살펴보는게 좋을 것 같아서 아는 사람들 위주로 간단하게 적어볼께요... 실패한 사람은 잘 이야기를 안해서 듣기가 힘드네요. 그런데 다들 미리 미리 준비하는 경우는 거의 없네요. 아무래도 현실을 살아야되기 때문에 꿈을 찾아 가려면 더 많은 시간을 투입해야되는 것 같습니다.1. 성공 사례1) 기술 이민으로 정착 성공 (IT 직군)배경: 40대 초반, 한국에서 개발자 경력 13년. 영어 점수와 기술심사 통과 후 기술 이민 진행.성공 포인트:수요 높은 직군 선택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영어 준비 철저 (IELTS 7.0 이상)사전 네트워킹을 통해 취업 성공결과: 이민 6개월 만에 현지 기업 취업, 영..
2025.03.23 -
캐나다와 미국의 관계: 이동/관세/에너지
트럼프 관세로 인해 이야기가 많아 지고 있어서 한번 알보고 있습니다.일단 캐나다와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긴 국경을 공유하며, 경제적으로도 긴밀하게 연결된 주요 무역 파트너입니다. 두 나라는 자유무역협정(USMCA, 이전 NAFTA)을 통해 무역을 활성화하고 있으며, 이동과 관세, 에너지 분야에서 협력과 갈등을 반복해 왔습니다. 이에 따라 이 세 가지 관점에서 양국 관계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1. 이동 (인적·물적 이동)캐나다와 미국은 상호 방문객과 비즈니스 관계가 활발한 국가입니다. 특히, 국경을 넘는 이동이 자유롭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여러 협정을 맺고 있습니다.관광 및 비즈니스 이동: 양국 시민은 단기 방문 시 별도의 비자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이는 관광, 가족 방문, 단기 비즈니스 목적의..
2025.03.19 -
호주 vs 캐나다 워킹홀리데이
저는 대학 졸업 후 항상 이 제도를 못해본게 아쉬웠습니다. 개인적으로 도전의욕이 별로 없기도 하지만 그래도 한번 해봤으면 좋았을 걸.... 이란 생각을 많이 했었죠. 지금도 그때 도전해봤으면 하는 생각을 많이 하는데 이미 많은 나이지만 앞으로 또 이런 일이 없었으면 하는 생각이 갑자기 드네요...1. 호주 워킹홀리데이 제도의 역사호주의 워킹홀리데이(Working Holiday) 제도는 1975년에 처음 도입되었다. 젊은이들에게 여행과 취업 기회를 제공하여 국제 교류를 촉진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이후 다양한 국가들과 협정을 맺으며 프로그램을 확대해 왔으며, 현재까지도 전 세계 청년들에게 인기가 높은 제도로 자리 잡았다.2. 캐나다 워킹홀리데이 제도의 역사캐나다의 워킹홀리데이(International Exp..
2025.03.18 -
미국의 우크라이나 지원 중단과 국제 정세 변화
안녕하세요. 우크라이나 전쟁이 벌써 3년 차에 접어들었네요. 전쟁 초기와 달리 전황이 꽤 많이 바뀌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을 중단한다는 소식이 큰 화제를 모으고 있죠. 세계가 이 문제를 어떻게 보고 있는지, 그리고 미국의 결정 배경은 무엇인지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1. 미국의 우크라이나 지원 중단: 배경과 원인미국은 내부 정치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어요. 예산 문제도 심각하고,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점점 지원 중단문제가 심화되고 있었습니다. 또한 전쟁 피로감에 지친 국민 여론도 “이제 그만”이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결국 이런 이유들이 모여 우크라이나 지원이 중단됐다고 볼 수 있지만 국제 정세가 어떤지 좀 알아봐야 될 것 같습니다.2. 유럽..
2025.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