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3. 9. 15:25ㆍIssue
히키코모리란?
히키코모리는 '사회적 고립을 선택해 방 안에 틀어박혀 생활하는 사람'을 뜻하는 일본에서 유래된 용어예요. 최근에는 한국에서도 자주 사용되면서 사회적 문제로 있습니다. 문득 예전 친구들을 생각해보니 몇명 일렇게 된 친구가 생각이 나서 글을 작성해 봅니다.

일본과 한국의 히키코모리, 왜 발생할까?
히키코모리가 되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나라별로 차이가 있어요.
일본의 주요 원인
- 사회적 압박과 경쟁
- 실패에 대한 두려움
- 가족과의 소통 부족
- 취업 실패나 학교생활 부적응
일본은 장기 불황과 극심한 경쟁 사회로 인해 청년층이 사회로부터 도망치는 경우가 많아요. 가족들이 이를 방치하는 문화도 영향을 미쳐요.
한국의 주요 원인
- 학업 스트레스
- 과도한 기대와 압력
- 사회적 관계 형성의 어려움
- 청년층의 취업난
한국은 교육 경쟁이 극심하고, 성취 중심 사회 분위기가 강해요. 실패를 용납하지 않는 문화가 히키코모리를 양산하는 원인이 되기도 해요.
일본과 한국의 공통점
일본과 한국 모두 히키코모리를 유발하는 주요 공통 요소가 있어요.
- 사회적 스트레스: 과도한 경쟁과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주요 원인
- 가족 및 사회적 소통 부족: 가족과의 대화 단절 및 친구 관계 유지의 어려움
- 취업 및 학업 압박: 학업 성적과 취업 성공이 인생의 중요한 척도로 여겨짐
주요 사례 3가지
- 일본의 30대 히키코모리 증가 일본에서는 30~40대 중장년층 히키코모리가 증가하는 추세예요. 청년기에 사회에 적응하지 못한 이들이 나이를 먹어도 사회로 복귀하지 못하고 부모에게 의존하는 경우가 많아요.
- 한국의 N포세대와 은둔형 외톨이 한국에서는 극심한 취업난과 높은 주거 비용 등으로 인해 연애, 결혼, 출산 등을 포기하는 'N포세대'가 등장했어요. 특히 이들 중 일부는 사회와 단절된 채 혼자만의 생활을 선택하는 경우도 있어요.
- 코로나19 이후 고립 증가 일본과 한국 모두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사회적 고립이 심화되었어요. 재택근무와 온라인 수업이 증가하면서 외부와의 접촉이 줄고,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진 사례가 많아요.
내 정신건강은 괜찮을까? 자가 진단 체크리스트
혹시 나도 사회적 고립 상태에 있는 건 아닐까요? 아래 체크리스트를 통해 점검해보세요.
- 친구나 가족과의 소통이 원활한가?
- 외출이 어렵지 않고, 일상생활을 잘 유지하고 있는가?
- 스스로의 가치에 대해 긍정적으로 느끼는가?
- 새로운 사람과의 만남이 부담스럽지 않은가?
- 자주 무기력하거나 불안, 우울감을 느끼지 않는가?
이 질문 중 2가지 이상에서 어려움을 느낀다면, 혼자 고민하지 말고 전문가나 주변 사람들과 상의하는 것이 좋아요.
마무리
히키코모리는 단순한 개인 문제가 아니라 사회 구조적인 문제와도 연결되어 있어요. 가장 중요한 것은 나를 돌아보고, 작은 변화부터 시도해보는 것이죠. 정신건강 관리는 나를 위한 투자예요. 고민이 있다면 꼭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세요!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벚꽃 시즌 - 경기도 (1) | 2025.03.22 |
---|---|
피터팬 증후군: 어른이 되기 싫은 사람들 (1) | 2025.03.09 |
OpenAI와 DeepSeek 차이와 장단점 (1) | 2025.02.01 |
드론의 가성비와 무기화로 인한 추세 (1) | 2025.01.28 |
드론의 종류와 안티드론 기술 (1) | 2025.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