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공포와 탐욕 지수와 머신러닝 · AI의 만남

경제학 공부

by EIS Student 2025. 7. 6. 07:30

본문

목차

  1. 공포와 탐욕 지수란 무엇인가?
  2. 머신러닝·AI인가?
  3. 데이터 수집 - 전통 데이터 vs. 대체 데이터
  4. 특징(Feature) 엔지니어링 전략
  5. 모델링 아키텍처
  6. 실시간 파이프라인 & MLOps
  7. AI 기반 지수 활용 투자 전략
  8. 한계, 윤리, 규제
  9. 2025 로드맵 & 결론
  10. 흥미로운 태그


1. 공포와 탐욕 지수란 무엇인가?

CNN Money가 대중화한 이 지수는 0(극심한 공포)-100(극심한 탐욕) 범위로 시장 심리를 계량화한다. 구성요소는 변동성(VIX), 모멘텀, 수급, 옵션 Put/Call 비율 등 7가지를 합성한 값이다. 최근에는 인도네시아·암호화폐·AI 섹터 등 로컬/테마 지수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2. 머신러닝·AI인가?

  • 패턴 인식: 딥러닝은 수십 년치 가격·거래·뉴스 데이터를 학습해 인간이 놓치는 주기적 패턴을 탐지한다.
  • 실시간 감정 분석: 자연어처리(NLP)가 뉴스·SNS를 초 단위로 스코어링해 지수를 보완한다.
  • 맞춤 지수: 특정 자산군(예: DePIN·AI 토큰)에 특화된 서브지수를 생성해 포트폴리오 의사결정을 정밀화한다.

3. 데이터 수집 - 전통 데이터 vs. 대체 데이터

구분 소스 특징 수집주기
가격·거래량 S&P 500, 코스피, 비트코인 정량·고빈도 초–분 단위 스트림
옵션·채권 스프레드 CBOE, FINRA 위험 선호도 지표 일 단위
대체 데이터 트위터, 레딧, 디스코드, 구글 트렌드 감정·주목도 실시간
온체인 데이터 UTXO AGE, 스마트머니 이동 크립토 전용 블록 생성 주기

: 2025년부터 트윗 API 요금이 크게 올랐다. 많은 프로젝트가 snscrape 같은 크롤러와 벡터 DB(Weaviate/Chroma)에 데이터를 실시간 적재한다.


4. 특징(Feature) 엔지니어링 전략

  1. 지수-정규화: 각 서브지수를 min-max(0-100)로 재스케일.
  2. 변동성 클러스터링: GARCH → 잔차를 K-Means로 군집화해 ‘공포 군집’ 식별.
  3. 감성 임베딩: 파인튜닝한 Ko-BERT/Bloom을 통해 토큰 감성 점수를 생성 후 이동평균.
  4. 크로스자산 상관특성: 주식-채권, BTC-나스닥 상관계수의 체계적 변동을 피처로 사용.
  5. 시간지연 Lag Feature: 1·3·7·30 일 시차를 추가해 단기-중기 반응 캡처.

5. 모델링 아키텍처

5-1. 비감독 학습: 가중치 자동 추정

Supertype (2025) 사례처럼 PCA + Autoencoder로 각 서브지수의 설명력을 계산해 가중치를 동적으로 조정한다.

5-2. 감독 학습: 예측 모형

  • Tree 기반 : XGBoost / LightGBM – 해석 용이, 피처 상호작용 강점
  • 딥러닝 : Temporal Fusion Transformer(TFT) – 장기 트렌드 + 단기 이상치 모두 학습
  • 멀티모달 : 가격 시계열 + 텍스트 임베딩을 Concatenate 후 Dense Head

5-3. 강화 학습: 정책 최적화

Proximal Policy Optimization(PPO)로 포트폴리오 레버리지/현금 비중을 결정, 보상 함수는 샤프 비율 + 최대 낙폭 최소화.


6. 실시간 파이프라인 & MLOps

[X·News Stream] → Kafka → Spark Structured Streaming → Feature Store → 
→ Model Inference (ONNX Runtime) → Redis Cache → Dashboard/API
  • Feature Store: Feast v1.5, 지연 ≤200 ms
  • 모델 관리: MLflow + GitOps; Canary Deploy로 버전 A/B 테스트
  • 서버리스 추세: AWS Bedrock Inference(2025 신규 요금제)로 비용 30% 절감

7. AI 기반 지수 활용 투자 전략

전략 핵심 로직 실전 팁

FGI Mean-Reversion 지수가 ≤20 → 분할 매수, ≥80 → 분할 매도 변동성 필터(VIX < 25)와 함께 사용
Sentiment-Momentum 지수 3일 연속 상승 & 가격 MA 상방 돌파 암호화폐에서 효과적
RL 자산배분 PPO 에 지수·변동성·거시변수 입력 거래 비용을 보상에 반영
옵션 헤지 Extreme Greed 구간에 콜스프레드, Extreme Fear에 풋스프레드 세타(시간가치) 감안

8. 한계, 윤리, 규제

  • 데이터 편향: SNS 봇·거짓 정보 노이즈.
  • 모델 취약성: 어드버서리얼 텍스트 공격 시 잘못된 감정 스코어 생성 가능.
  • 규제: 한국 D-VASP 지침(2025.4) - 암호화폐 데이터 사용 시 저장·로그 요건 강화.
  • 윤리: 개미투자자 과도한 레버리지 조장 우려 → 설명가능 AI(XAI)로 투명성 확보.

9. 2025 로드맵 & 결론

  1. 벡터 검색 기반 다국어 감성 분석 강화 – LLM RAG 구조 도입.
  2. Cross-Asset FGI : 주식·채권·원자재·디지털자산을 하나의 스케일로 통합.
  3. 온체인 지수 : 실시간 Gas 비·DeFi TVL 변화를 편입.
  4. 오픈소스 생태계 : Supertype·QuantConnect 모듈이 활발, 커뮤니티 협업 확대.

AI가 결합된 공포와 탐욕 지수는 단순 ‘심리 온도계’를 넘어, 전략적 리스크 레이더로 진화하고 있다. 데이터의 깊이와 모델의 정교함이 곧 투자 경쟁력이 되는 시대다.

관련글 더보기